Spring (2)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MVC에 WebClient 사용해보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아직 국내의 일반적인 시스템은 WebFlux를 사용하여 전체 모든 구간을 Asynchronous Non-blocking I/O로 처리하기 어려울것 같다. Reactive 프로그래밍에 대한 난이도도 높을 뿐더러 R2DBC가 나오긴 했지만 아직은 기존 기능에 비해 기술 성숙도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무엇보다 아직은 서블릿 기반의 멀티 스레드 처리가 빠르다...(아직 부족을 못느끼고 있음) 아무튼, 여러가지 이유로 아직은 Spring-boot-starter-web를 이용한 Web MVC를 사용하지만, WebClient는 학습해봐야 할것 같아 간단한 테스트를 하며 정리한 내용을 포스팅 하려 한다. WebClient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간단한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기 위.. Spring Web MVC와 Spring WebFlux 같이 사용하기 Spring Boot는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embedded Tomcat, Jetty, Undertow, or Netty를 지원하며 이를 이용하여 빠르게 관련 모듈을 구성하기 위해 spring-boot-starter-web와 spring-boot-starter-webflux를 지원한다. 각 모듈의 역할 및 기능은 이미 많은 블로그에 포스팅 되어 있기에 관련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궁금했던 부분은 우선 spring-boot-starter-web을 사용하면서 spring-boot-starter-webflux 의webclient를 사용할 수 있을까? 였다. 여러 블로그를 찾아봐도 명확하게 확인되는 내용이 없어 직접 두 모듈을 적용해 보며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해 보았다... 이전 1 다음